BACK
준비되어야 하는 우리 원의 경쟁력 북 큐레이터 – 아이가 세상을 보는 눈 ‘우리 가족’ 소리와 고요 사이에 서 있는 아이. 나는보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6) ”몸 친구 마음 친구에게 고마움을 전해요.” 정서적 주파수 ‘공감’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인생 굴곡 그래프 엄마가 되어간다는 것 스톡데일 패러독스 북 큐레이터 _ 성장은 세상의 소리를 듣는 일 아빠의 행복시네마(4) ‘스노우맨’ 북 큐레이터 - 희망과 온기가 가득한 ‘눈 오는 날’을 기다리며 마음을 여는 현명한 선택 다시 볼 영화_ ‘그린치’, 사과와 용서가 있는 크리스마스 원 경영을 위한 나의 감정 메모 인생에서 너무 늦을 때란 없습니다. 북 큐레이터-핑크와 블루를 넘어서 한 해의 마무리, 성찰질문 초등부모교실. 아이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다. 인격 감각과 도덕 누구에게나 모진 시련이 있지만... 놀이(Play)하듯 '행복'을 창조하는 패턴 아빠의 행복시네마(3) '마샤와 곰' 퍼스트 펭귄(펭귄 효과) 다시 볼 영화 _ ‘가버나움’, 지옥의 풍경 너머로 부는 따뜻한 바람 조 바이든의 '신의 선물' 열무와 알타리 찰리 채플린 - 두 번째 만남 한글의 날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북 큐레이터 – '가을'이란 계절의 인사 북 큐레이터 – 행복을 느끼는 내면의 힘 ‘자존감’ Want love, Must love 이게 다 너를 위한 거라고! 아동방임(Childhood neglect)과 불안정애착아 ‘D type’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다시 볼 영화_'블랙(Black)' 어둠에서 빛으로 가는 길 찰리 채플린 - 첫 번째 만남 나의해방일지 다시 볼 영화 - '죽은 시인의 사회', 죽음을 벗어나는 교육 인간다운 그리고 다시 '행복한 교육'에 대하여 인생이 달라지는 모닝 루틴 어둠 속 달빛 영화 ‘아일라 (2017)’ 어린 시절의 미해결 과제(unfinished business) 월요병을 치료할 "BFS 백신" 등장 아빠의 행복시네마 '인사이드 아웃' 한복이 그라피티를 만났을 때 교사의 근속을 높이는 방법 거북이는 느려도 행복하다 아이의 성격은 부모의 태도가 결정한다. 뇌가 망가지는 방임 나를 채우는 5가지 말그릇 "넌 할 수 있어"에서 "지금도 괜찮아"로 아빠의 행복시네마 "아빠의 꿈" 깨진 유리창 이론과 자녀교육 십계명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존재를 인정하는 공감 능력 Stay High! (I just want to stay high with you.) 공감지도 생애 초기 가장 중요한 애착과 대화 시스템 'D Type'으로부터의 해방 우리 모두의 ‘Bounce forward’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오픈 리더십’ 다른 누군가가 아닌 한 사람 리더십 단축키 100세 할머니가 전하는 인생 저금 의미있는 시작, 사소함 원장님을 위한 시간관리 노하우 좋은 교사를 뽑을 수 있는 꿀팁 교사 채용 시 알아두면 유익한 '채용절차법' 도.개.걸.윷.모 기쁨을 찾는 기쁨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북 큐레이터 - 성장은 자기만의 때를 기다리는 것 하루가 달라지는 1분 모닝 루틴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5) ”아빠! 나는 어떻게 태어났어요?”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의 향연 다시 한번 작심, 그리고 삼일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2탄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1탄 북 큐레이터 - 책과의 교감으로 만들어가는 행복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4)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칭찬해주세요.’ ‘리더십’과 ‘조직문화’ 아이들은 '놀이'로 웅변한다. 나만의 색깔을 찾아서, ‘퍼스널컬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3) ‘소중한 내 아이의 감정을 만져주세요.’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나쁜 양육, 좋은 양육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2) ‘아이에게 따뜻하게 물어보세요.’ 포모증후군(Fear Of Missing Out)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1) ‘꼬옥! 안아주세요.’ 효과적인 원 행사를 위한 '아이스 브레이킹' 활용_2탄 북 큐레이터 - 다양한 '감정' 마주하기 '비스듬히' 결국, 사랑받을 세계관 감정의 '페르소나' 꿈을 평가한다면 '튀김소보로'를 아시나요 콜 포비아 세대를 대하려면

20세기 들어 정신분석학이 출현한 이후 인간 내면에 관해 연구하려는 분위기가 급속도로 발전하게 된다. 특별히 지구상에 인간이 존재한 이후 누구도 관심을 두지 않았던 어린이들의 내면세계에 대해 인류 최초로 연구한 사람들이 몇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은 서로를 라이벌로 여겼던 아동 정신분석의 선구자였던 ‘안나 프로이트’와 ‘멜라니 클라인’이었다. 왼쪽이 클라인이고, 오른쪽이 프로이트인데 아마 서로 다정해 보이는 유일무이한 사진인  듯하다.

------------------------------------------------

아동 정신분석의 선구자였던

‘안나 프로이트’와 ‘멜라니 클라인’

------------------------------------------------


[이미지 출처]

https://fr.wikipedia.org/wiki/Les_Controverses
_Anna_Freud-Melanie_Klein_(1941-1945)


이들이 주장한 것은 바로 ‘놀이’를 통해 어린이들의 내면세계를 알 수 있다고 증명한 것이다. 물론 그 당시 이들이 아동에게 제시한 놀잇감은 목각으로 만든 사람 인형 몇 개에 불과했으나 이후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 기반을 둔 ‘모래 놀이’ 치료가 시작되면서 아동들의 놀이에 대해서 깊이 있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나는 교사 교육을 하게 될 때나 뉴스를 통해 교사들의 소식을 듣게 될 때면 교사들이 아이들의 심리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을 두고 공부해보길 하는 마음을 갖는다. 가령 아이들이 어떤 행동을 보일 때 그에 대해 어른의 관점에서 핀잔을 주거나, 가르치려 들거나, 혼을 낸다거나, 윽박지른다면 그건 분명 수동적 학대에 해당하는 행위로 적지 않은 상처를 아이들에게 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보자. 부모님이 이혼하고 할머니에게 아이를 맡겼다. 부부는 맞벌이로 바쁘고 일주일에 한 번 엄마가 겨우 아이를 만나는 형편이다. 그런데 아이가 어느 날부터 자꾸 배가 아프다고 호소한다. 그리고 툭하면 운다. 


그런데 담당 교사는 우는 아이에게 "그렇게 울려면 1세 아기 반에 가서 같이 울어요!"라고 한다거나 배가 아프다고 하면 "에이 안 아픈 거 같은데? 거짓말이지?"라고 말을 한다거나 아이가 무언가를 잘못하면 교사가 씩 웃으면서 "그래요 죄송해요? 우리 어린이가? 그럼 죄송할 짓을 왜 했을까요?"라고 말을 한다면 도대체 아이는 어떻게 하라는 것일까?

------------------------------------------------

감정을 언어화 하기 

어려운 아이들 

------------------------------------------------

   

‘스토리텔링을 통한 어린이 심리치료’라는 전집을 집필한 작가이자 영국의 아동심리치료가인 마곳 선더랜드는 아동은 어른에 비해 감수성이 대단히 섬세하기에 무언가를 느끼면 감정이 확 올라온다고 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그렇게 확 올라온 감정들을 다 ‘언어화(verbalization)’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자. 엄마와 딸이 시골 할머니 집에 갔다. 부엌에서 엄마랑 놀던 아이가 엄마가 잠시 나간 사이 생전 처음 쥐를 보았다. 그러자 아이는 소스라치게 놀랐고 엄마가 다가와 묻는다.


"왜 그러니? 무슨 일인데?“

그러자 아이는 굳은 얼굴로 찡그리며 "저기…. 쥐…! 쥐…! 쥐…! 쥐!"라고 한다.

순간 엄마가 "응? 뭐? 쥐? 아! 쥐~ 여긴 시골이라서 저런 쥐들이 한두 마리가 아냐. 에이 또 뭐라고 자! 이제 그만 밥이나 먹으러 가자" 이렇게 했다. 사건 종결?


선더랜드는 이 순간 아이가 어른처럼 말을 했다면 이렇게 말했을 것이라고 했다.  

"엄마! 쥐가 갑자기 나타나 저를 물려고 하는 것 같아서 제가 너무 무섭고 놀랐어요.“

“엄마! 엄마가 곁에 있었으면 안 무서웠을 텐데 엄마가 안 계셔서 저는 너무 무서웠어요.”

"엄마! 저는 쥐를 처음 봐요. 징그럽게 생긴 쥐가 제 앞을 빨리 지나갈 때 저게 어디서 왔지? 라고 생각했어요.“


아이가 말이라는 걸 제대로 할 수 있다면 위의 말들을 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실제는 어떤가? 아이가 한 말은 놀라서 "엄마! 쥐! 쥐!" 가 전부였다. 그래서 엄마는 뭐라 했는가? "저거 쥐야 시골이라 쥐가 많아 가서 밥 먹자“

------------------------------------------------

‘놀이’로 표현하고

 말하는 아이들  

------------------------------------------------


그래서 선더랜드는 말한다. 아이들은 언어로 모든 걸 담을 수 없다고 말이다. 미술치료나 음악치료 그리고 놀이 치료나 모래 놀이 치료 등을 통한 ‘표현’과 ‘놀이’가 그래서 아이들에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세상 모든 것이 다 언어로만 전달된다면 미술이나 음악은 존재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건 다 언어로만 전해지지 않는다. 동작으로 손으로 음성으로 악기로 그림으로 작품으로 드러난다. 그것들은 언어 이상의 말을 우리에게 건네고 있지 않은가.


어린이들은 ‘놀이’로 말을 한다. 그리고 어린이들은 느끼는 바를 다 말로 표현해내지 못한다. 그런 아이들이 부족한 단어 몇 개를 배워서 뭐라 뭐라 자기 나름의 아픔을 호소한다면 교사는 반드시 그 말에 귀를 기울여주고 공감해주고 자기 수준에서 도울 수 있는 걸 해 주어야 한다. 


그런데 아이가 하는 말을 꾸며낸 말이라고 하거나, 가만있으라 하고, 소리 지르고, 참으라고 하는 건 너무나 미숙한 반응이다. 심지어 학대(수동적 학대)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런 말을 흔히 하는 교사들의 경우 스스로 불행한 어린 시절을 경험했거나 치유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

아이들의 내면의 언어를 읽으려 

노력하는 교사들의 노력

------------------------------------------------


잊을만하면 터지는 아동 학대 관련 뉴스와 영상들을 보게 되면 정신분석적으로 분명히 본인이 받은 그대로를 돌려주고 재현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유아기와 유년기는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꿈을 꾸는 시기이며 가장 자아가 여리고 약할 때이다. 아이들의 행동과 놀이를 수용해주고 내면의 언어를 읽으려 노력하는 교사들이 더 많음을 모르지 않는다. 그런 교사들의 노력이 귀하다. 그런 교사에 의해 오늘도 어딘가에서 행복하게 세상을 배울 아이들이 있을 것이다. 


행복을만드는교육

시대가 변화해도 여전히 조화를 이루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을 가르치는 것은 가장 중요합니다.
‘행복을 만드는 교육’은 유아교육의 미래를 새롭게 만들 ‘중요한 발상’과 ‘실천’을 찾는 동심연구소의 노력입니다.

교육 후기

  •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