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준비되어야 하는 우리 원의 경쟁력 북 큐레이터 – 아이가 세상을 보는 눈 ‘우리 가족’ 소리와 고요 사이에 서 있는 아이. 나는보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6) ”몸 친구 마음 친구에게 고마움을 전해요.” 정서적 주파수 ‘공감’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인생 굴곡 그래프 엄마가 되어간다는 것 스톡데일 패러독스 북 큐레이터 _ 성장은 세상의 소리를 듣는 일 아빠의 행복시네마(4) ‘스노우맨’ 북 큐레이터 - 희망과 온기가 가득한 ‘눈 오는 날’을 기다리며 마음을 여는 현명한 선택 다시 볼 영화_ ‘그린치’, 사과와 용서가 있는 크리스마스 원 경영을 위한 나의 감정 메모 인생에서 너무 늦을 때란 없습니다. 북 큐레이터-핑크와 블루를 넘어서 한 해의 마무리, 성찰질문 초등부모교실. 아이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다. 인격 감각과 도덕 누구에게나 모진 시련이 있지만... 놀이(Play)하듯 '행복'을 창조하는 패턴 아빠의 행복시네마(3) '마샤와 곰' 퍼스트 펭귄(펭귄 효과) 다시 볼 영화 _ ‘가버나움’, 지옥의 풍경 너머로 부는 따뜻한 바람 조 바이든의 '신의 선물' 열무와 알타리 찰리 채플린 - 두 번째 만남 한글의 날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북 큐레이터 – '가을'이란 계절의 인사 북 큐레이터 – 행복을 느끼는 내면의 힘 ‘자존감’ Want love, Must love 이게 다 너를 위한 거라고! 아동방임(Childhood neglect)과 불안정애착아 ‘D type’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다시 볼 영화_'블랙(Black)' 어둠에서 빛으로 가는 길 찰리 채플린 - 첫 번째 만남 나의해방일지 다시 볼 영화 - '죽은 시인의 사회', 죽음을 벗어나는 교육 인간다운 그리고 다시 '행복한 교육'에 대하여 인생이 달라지는 모닝 루틴 어둠 속 달빛 영화 ‘아일라 (2017)’ 어린 시절의 미해결 과제(unfinished business) 월요병을 치료할 "BFS 백신" 등장 아빠의 행복시네마 '인사이드 아웃' 한복이 그라피티를 만났을 때 교사의 근속을 높이는 방법 거북이는 느려도 행복하다 아이의 성격은 부모의 태도가 결정한다. 뇌가 망가지는 방임 나를 채우는 5가지 말그릇 "넌 할 수 있어"에서 "지금도 괜찮아"로 아빠의 행복시네마 "아빠의 꿈" 깨진 유리창 이론과 자녀교육 십계명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존재를 인정하는 공감 능력 Stay High! (I just want to stay high with you.) 공감지도 생애 초기 가장 중요한 애착과 대화 시스템 'D Type'으로부터의 해방 우리 모두의 ‘Bounce forward’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오픈 리더십’ 다른 누군가가 아닌 한 사람 리더십 단축키 100세 할머니가 전하는 인생 저금 의미있는 시작, 사소함 원장님을 위한 시간관리 노하우 좋은 교사를 뽑을 수 있는 꿀팁 교사 채용 시 알아두면 유익한 '채용절차법' 도.개.걸.윷.모 기쁨을 찾는 기쁨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북 큐레이터 - 성장은 자기만의 때를 기다리는 것 하루가 달라지는 1분 모닝 루틴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5) ”아빠! 나는 어떻게 태어났어요?”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의 향연 다시 한번 작심, 그리고 삼일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2탄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1탄 북 큐레이터 - 책과의 교감으로 만들어가는 행복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4)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칭찬해주세요.’ ‘리더십’과 ‘조직문화’ 아이들은 '놀이'로 웅변한다. 나만의 색깔을 찾아서, ‘퍼스널컬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3) ‘소중한 내 아이의 감정을 만져주세요.’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나쁜 양육, 좋은 양육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2) ‘아이에게 따뜻하게 물어보세요.’ 포모증후군(Fear Of Missing Out)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1) ‘꼬옥! 안아주세요.’ 효과적인 원 행사를 위한 '아이스 브레이킹' 활용_2탄 북 큐레이터 - 다양한 '감정' 마주하기 '비스듬히' 결국, 사랑받을 세계관 감정의 '페르소나' 꿈을 평가한다면 '튀김소보로'를 아시나요 콜 포비아 세대를 대하려면

사람은 누구나 따뜻한 걸 좋아한다. 

따뜻한 환경, 따뜻한 인격, 따뜻한 이불, 따뜻한 분위기. 따뜻한 음식. 따뜻한 차...


그런데 인간은 이 첫 ‘따뜻함’을 현실에서 느낀 게 아니라 아직 현실이 되기 이전의 상태, 엄마의 '태중'에서부터 느꼈다는 사실이다.


인간이 느낀 첫 따뜻함의 온도

엄마의 뱃속에서 아기는 첫 따뜻함을 누리며 느꼈다. 이 따뜻함은 처음부터 아기가 온몸으로 느꼈던 근원적 온도요 원형적 온도였다. 그게 바로 '체온'이다. 36.5도. 그 온도는 인간이 경험한 첫 온도이다. 따뜻한 온도 말이다. 


그런데 아기가 9개월, 10개월이 넘으면 현실의 세계로 나오라는 엄마의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세상에 나온 아기는 현실의 온도를 피부로부터 느끼며 놀라게 된다. 아기가 마주하는 현실의 온도는 너무 춥기 때문이다. 아기가 출산 시에 경험하게 되는 온도는 36.5도 그보다 대부분 낮기에 아기는 달라진 온도에 화들짝 놀라게 된다. 온몸으로 여과 없이 아기가 경험하는 현실은 그야말로 충격이다.

 

그래서 도널드 위니캇 같은 영국의 소아과 의사는 모든 아기는 출산 이후에 출산 이전의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아기가 출산한 이후에 태중(胎中)과 너무 다른 현실을 마주하게 될 때 느끼는 아찔함과 당황스러움, 당혹스러움, 그걸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바로 ‘엄마의 품’이라는 것이다. 


엄마의 품은 따스하다. 엄마의 가슴은 더 따스하며 엄마의 젖은 그야말로 아기가 태아로 살았던 고향(자궁)으로 회귀한 것 같은 착각을 심어줄 정도로 달콤하고 따스하기만 하다. 누구나 이 ‘품’의 경험을 하였기에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니캇에게 있어서 이 ‘품’은 인격의 요람에 해당하며 아기 내면의 중심 즉 건강한 self(자기)의 시작점이 품(holding)이라 하였다. 


품의 부재가 주는 의미 

그런데 그 품이 없거나 너무 적거나 따스하지 않을 때 아기는 절망을 경험한다. 태어나 맞는 현실 그 자체도 괴로운 것이 인생인데 따스한 품까지 부재하면 아이에게는 거의 고문에 가까운 현실이 되는 것이다.


아이들만 그럴까! 오늘도 잔뜩 찌푸린 표정으로 하루를 시작해야 하는 수많은 어른아이들, 그들을 우리는 성인, 어른이라 부르지만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눈을 감은 채 피곤에 지쳐 잠시라도 환상의 세계(자신만의 공간)에 머물고 싶은 많은 사람들의 표정처럼 때로 사람에게 현실은 누구나 버거움 그 자체로 느껴지기도 한다. 그런 현실을 버텨낼 힘도 품에서 나온다. 어른이나 아이나 우리 모두에게는 언제나 이 ‘품’이 필요하다. ‘따스한 품’ 말이다.


품의 힘을 가진 ‘놀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은 아이들에게 때로는 낯선 현실을 마주하는 공간이다. 위니캇은 그런 낯선 공간에서 필요한 것은 먹을 것이나 하루 일과 중 따라야 하는 규칙이 아니라 바로 플레이(play) 즉 ‘놀이’하는 마음이라고 주장했다.


놀이는 그저 논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람이 가진 본능의 표출을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행위를 말한다. 쉽게 말하면 선생님을 보면 반갑고 친구들을 보면 같이 미소 지으며 말을 건네고 싶고 장난기가 발동하며 뭔가 흥미롭고 역동적인 분위기를 위니캇은 ‘play 한다.’라고 말한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게 바로 ‘품’이다. ‘holding’말이다. 그 따스한 품으로 인해 우리는 고달픈 현실과 삶을 견디며 삶을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품어주는 ‘품’의 힘은 아이들과 교사들에게 이 곤혹스러운 현실을 마치 환상의 세계처럼 살아볼 만한, 내 존재를 영글게 하는 현실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뜻한 품’ 나누기

이제 10월이 되어서인지 아침, 저녁으로 쌀쌀함이 느껴진다. 이렇게 날이 추울수록 자살이 증가한다고 한다. 잿빛 하늘에 일조량이 감소하다 보니 사람들에게 빛의 부족은 심리적으로 따스함의 부족으로 느껴질 테고, 평소에 사랑받지 못하고 살아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겨울은 심리적으로 더 견디기 어려운 계절일 수 있다. 


다른 사람을 말하는 게 아니다. 내가 그랬다. 그냥 흐리기만 한 가을과 겨울날은 왠지 온종일 우울하곤 했다. 요즘은 흰 눈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한 번은 추운 12월 어느 날인가 눈을 떠 보니 밖에 눈이 소복이 쌓인 모습에 감탄한 적이 있었다. 그날은 분명 추운 날임에도 그 눈이 마치 온 세상을 안아주고 덮어준 것 같은 느낌을 주어 따스했기 때문이다.


오늘은 나의 ‘품’으로 아이들을, 가족을 안아주자. 하루 동안 느낀 현실의 고됨을 벗고 ‘따뜻함’을 나누어보자. 함께 마실 따뜻한 한 잔의 차라도 함께!


행복을만드는교육

시대가 변화해도 여전히 조화를 이루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을 가르치는 것은 가장 중요합니다.
‘행복을 만드는 교육’은 유아교육의 미래를 새롭게 만들 ‘중요한 발상’과 ‘실천’을 찾는 동심연구소의 노력입니다.


교육 후기

  •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