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준비되어야 하는 우리 원의 경쟁력 북 큐레이터 – 아이가 세상을 보는 눈 ‘우리 가족’ 소리와 고요 사이에 서 있는 아이. 나는보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6) ”몸 친구 마음 친구에게 고마움을 전해요.” 정서적 주파수 ‘공감’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인생 굴곡 그래프 엄마가 되어간다는 것 스톡데일 패러독스 북 큐레이터 _ 성장은 세상의 소리를 듣는 일 아빠의 행복시네마(4) ‘스노우맨’ 북 큐레이터 - 희망과 온기가 가득한 ‘눈 오는 날’을 기다리며 마음을 여는 현명한 선택 다시 볼 영화_ ‘그린치’, 사과와 용서가 있는 크리스마스 원 경영을 위한 나의 감정 메모 인생에서 너무 늦을 때란 없습니다. 북 큐레이터-핑크와 블루를 넘어서 한 해의 마무리, 성찰질문 초등부모교실. 아이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다. 인격 감각과 도덕 누구에게나 모진 시련이 있지만... 놀이(Play)하듯 '행복'을 창조하는 패턴 아빠의 행복시네마(3) '마샤와 곰' 퍼스트 펭귄(펭귄 효과) 다시 볼 영화 _ ‘가버나움’, 지옥의 풍경 너머로 부는 따뜻한 바람 조 바이든의 '신의 선물' 열무와 알타리 찰리 채플린 - 두 번째 만남 한글의 날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북 큐레이터 – '가을'이란 계절의 인사 북 큐레이터 – 행복을 느끼는 내면의 힘 ‘자존감’ Want love, Must love 이게 다 너를 위한 거라고! 아동방임(Childhood neglect)과 불안정애착아 ‘D type’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다시 볼 영화_'블랙(Black)' 어둠에서 빛으로 가는 길 찰리 채플린 - 첫 번째 만남 나의해방일지 다시 볼 영화 - '죽은 시인의 사회', 죽음을 벗어나는 교육 인간다운 그리고 다시 '행복한 교육'에 대하여 인생이 달라지는 모닝 루틴 어둠 속 달빛 영화 ‘아일라 (2017)’ 어린 시절의 미해결 과제(unfinished business) 월요병을 치료할 "BFS 백신" 등장 아빠의 행복시네마 '인사이드 아웃' 한복이 그라피티를 만났을 때 교사의 근속을 높이는 방법 거북이는 느려도 행복하다 아이의 성격은 부모의 태도가 결정한다. 뇌가 망가지는 방임 나를 채우는 5가지 말그릇 "넌 할 수 있어"에서 "지금도 괜찮아"로 아빠의 행복시네마 "아빠의 꿈" 깨진 유리창 이론과 자녀교육 십계명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존재를 인정하는 공감 능력 Stay High! (I just want to stay high with you.) 공감지도 생애 초기 가장 중요한 애착과 대화 시스템 'D Type'으로부터의 해방 우리 모두의 ‘Bounce forward’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오픈 리더십’ 다른 누군가가 아닌 한 사람 리더십 단축키 100세 할머니가 전하는 인생 저금 의미있는 시작, 사소함 원장님을 위한 시간관리 노하우 좋은 교사를 뽑을 수 있는 꿀팁 교사 채용 시 알아두면 유익한 '채용절차법' 도.개.걸.윷.모 기쁨을 찾는 기쁨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북 큐레이터 - 성장은 자기만의 때를 기다리는 것 하루가 달라지는 1분 모닝 루틴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5) ”아빠! 나는 어떻게 태어났어요?”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의 향연 다시 한번 작심, 그리고 삼일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2탄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1탄 북 큐레이터 - 책과의 교감으로 만들어가는 행복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4)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칭찬해주세요.’ ‘리더십’과 ‘조직문화’ 아이들은 '놀이'로 웅변한다. 나만의 색깔을 찾아서, ‘퍼스널컬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3) ‘소중한 내 아이의 감정을 만져주세요.’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나쁜 양육, 좋은 양육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2) ‘아이에게 따뜻하게 물어보세요.’ 포모증후군(Fear Of Missing Out)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1) ‘꼬옥! 안아주세요.’ 효과적인 원 행사를 위한 '아이스 브레이킹' 활용_2탄 북 큐레이터 - 다양한 '감정' 마주하기 '비스듬히' 결국, 사랑받을 세계관 감정의 '페르소나' 꿈을 평가한다면 '튀김소보로'를 아시나요 콜 포비아 세대를 대하려면

미국의 범죄학자로 알려진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된 사회 무질서에 관한  이론으로 ‘깨어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이 있다.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되기 시작한다는 이론으로,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면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실 이 이론은 범죄자들의 심리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이론이기도 하겠지만 그보다 자녀교육에 더 가까운 이론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 아이가 보이는 작은 징후에 대하여 그냥 넘어가서는 안 되는 10가지를 나열해 본다.

 

1. 아이가 욕을 할 때

부모 눈에는 어린 자녀들은 모두 다 사랑스럽고 귀엽기만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자녀들이 밖에 나갔다 들어온 이후로 아이 입에서 욕이 튀어나올 적에, 혹은 부부싸움을 하면서 아빠나 엄마가 서로에게 했던 욕을 아이가 따라할 때가 있다. 후자의 경우 부모 입장에서 난감할 것이다. 자신들이 뱉은 말을 아이가 따라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래도 아이 입에서 욕이 나올 때는 반드시 주의를 주어야만 한다. 어릴 적에는 뭐든 나쁜 것도 멋모르고 재미있어서 남들이 하니까 따라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아이들의 욕하는 버릇을 막지 못하면 그 욕이 나중에 부모로 향하게 된다. 그런 모습이 귀엽기만 하겠는가!


2. 아이 입에서 짜증 섞인 말을 반복될 때

역시 이 말도 친구나 부모에게서 배웠을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 짜증 섞인 말을 많이 하는 아이들은 자기의 감정에 대해 객관적인 언어구사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이 많다. 왜 짜증이 나느냐고 물으면 별 이유가 없다. 그럴 땐 반드시 왜 짜증이 나는지를 물어야 한다. 그래서 아이가 참아야 하는 것이면 참아야 한다고 말해주어야 하고 억울한 것이면 풀어주도록 해야 한다. 무엇보다 그 입에서 감사해 보다 “짜증 나”가 많은 아이들은 정말 성격이 짜증나고 성장해서도 짜증스러운 아이가 되기 쉽다. 언어가 자신의 운명을 만든다는 걸 안다면 부모가 아이들의 짜증 섞인 말투를 귓등으로 들어선 안 될 것이다.

 

3. 부모가 훈육한 이후에 부모의 훈육에 대해 뒤돌아서서 불만을 표시할 때

훈육은 아이가 잘 되라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훈육을 했는데 뒤돌아서서 뭔가 불만 섞인 투정을 한다면 그것은 이미 훈육의 효과가 전무한 것이다. 그럼 다시 불러서 왜 그런 불만 섞인 말을 반복했는지를 물어야 한다. 그래서 억울한 부분이 있으면 다시 풀어주고 아닌 건 아닌 것으로 말해주어야 한다.

 

4. 불만을 행동으로 표시할 때

돌이켜보면 나도 어린 시절 부모님에게 뭔가 불만이 있을 적에 문을 쾅 닫는 못된 습관이 있었다. 아이들을 교육하는데 가장 중요한 건 감정을 곧장 행동으로 표현하지 말도록 하는 것이다. 말로 해야 한다. 말을 할 수 있도록 언어를 가르쳐야만 한다. 특히 아이들이 자라서 사춘기가 되면 감정이 일어나는 순간 그걸 행동화시킨다. 아이가 성장하면 할수록 더 힘들어진다. 그러니 감정이 일어나면 반드시 그걸 말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아내나 남편이 서로를 무시하는 모습을 보이면 자녀교육은 없다.

남자가 아버지가 되면 아무것이나 해서는 안 된다. 여자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우리가 다 성숙한 상태로 결혼을 하는 것도 아니고 성숙한 상태에서 아이들 부모가 되는 것은 더더욱 아니기에 서로 미숙한 인간들끼리 사랑이라는 명분으로 만나 살다 보면 본의 아니게 가정에서 언성을 높이고 갈등하며 싸우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결혼 전부터 자존심이 센 성격의 배우자라면 조금이라도 자기 자존심에 상처를 입게 되면 가만있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부부가 서로 싸우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이걸 의도하지 않게 아이들이 본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아이들은 부모의 싸우는 모습까지 학습하고 닮는다. 

그런데 아내나 남편이 서로를 무시하고 무시한 상태에서 아이와 한 편이 되어 상대 배우자에 대한 미움을 투사한다면 분명 그 아이는 남편이나 아내로 빙의되어 아버지나 엄마를 미워하게 된다. 정말 지혜로운 배우자라면 아이가 어리더라도 화가 나면 반드시 둘 만의 공간 속에서 말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아이에게 "너는 네 아버지처럼 살지 말아라!", 또는 "너는 네 엄마처럼 살지 말아라!" 이런 말들은 누워서 침 뱉기가 된다. 

 

6. 늘 몸이 아픈 부모의 모습도 자녀에게 상처가 된다.

아픈 것이 무슨 죄가 되겠나? 그러나, 너무 아픈 모습, 너무 지친 모습만 보인다면 그런 모습은 자녀에게 각인되어 그 아이도 커서 그렇게 무기력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내가 아는 선배는 아무리 아파도 남편이 일 나가면 침대에서 일어나 의무적(?)으로라도 포옹을 하고 "잘 다녀와요, 오늘도 우리 가족 위해 일해주어 고마워요." 라는 말을 빼 놓지 않았다고 한다. 아이들이 그 모습을 늘 봐왔고 나중에 엄마의 그런 모습을 통해 아빠에 대한 감사를 배웠다는 말을 들었다. 아내만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남편도 동일하다. 

 

7. 청소 및 욕실 습관 

아이들도 성장하면서 부모를 도와야 할 때가 있다. 설거지도 그렇고 집안 청소일도 그렇다. 가능하다면 식사 후에 아주 바쁜 것이 아니면 자기가 먹었던 식기들은 스스로 치우게 해야 한다. 욕실도 그렇다. 욕실은 공용시설이다. 샤워기로 슬리퍼에 물을 묻혀 놨다면 바로 세워 두는 일이나 머리를 감고 빠진 머리카락이 있으면 스스로 버릴 수 있어야 한다. 즉 자기가 한 일은 자기가 행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 그런 일까지 해 주는 게 부모의 사랑인가?

 

8. 작은 경제관념 만들어 주기

유럽의 CEO들은 어린 시절부터 자기 자녀들에게 돈 없이 살아보라는 훈련을 시킨다고 한다. 일부러 일정 기간 돈을 주지 않고 스스로 돈을 벌어보라는 것이다. 그런 경험을 한 아이들은 어린 시절부터  돈의 중요성과 흐름을 알게 된다. 그래서 나중에 현명한 CEO가 되어 아버지의 기업을 이어받을 수도 있다. 큰 저금통을 만들어 놓고(속이 비취는 저금통) 작은 심부름을 할 적에 그 돈을 모아 일정하게 채워지면 아이가 원하는 것을 사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자기가 모은 돈으로 자기가 원하는 걸 사 준다면 그 자체로 작은 경제관념이 학습되는 것이다.  


9. 부모와 아이의 경계를 지키도록 하기

어린 아이들이 하는 말 중에 "엄마 아빠는 되는데 왜 나는 안 돼?" 라는 말을 하기도 한다. 그럼 부모는 단호하고 엄격하게 말을 해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하는 건 엄마 아빠의 경계를 넘어서는 일이라고 말이다. 그래서 아이로 하여금 세상에는 권위라는 게 있고, 경계라는 게 있으며, 하지 말아야 할 말이 있고 아무리 화가 나도 해서는 안 될 행동이 있음을 알려주어야만 한다. 특히 외동으로 자란 아이들에게는 그런 건강한 경계선을 그어주는 일이 필수적으로 중요하다고 본다.

자녀교육에 있어 가장 치명적인 태도는 "좋은 게 좋은 거야." 라고 넘어가는 것이다. 아니다. "옳은 게 좋은 것이고 그 다음이 좋은 게 좋은 것"이다. 순서를 바꾸면 안 된다! 옳은 건 옳은 것이라 가르쳐주어야 한다. 

 

10. "요즘 애들 다 그런데 뭘" 이라고 말하지 않기

​아이가 어떤 그릇된 행동을 보일 적에 "요즘 아이들 다 그런데 뭘..." 이렇게 손 놓는 부모들을 보곤 한다. 아니다. 요즘 아이들이 다 그렇게 커도 우리 아이는 그렇게 키우면 안 된다. 아이가 갖고 있는 긍정적 가능성에 대해서는 마음껏 낙관성을 가져야 되겠지만 버릇없거나 욕을 하거나 누가 봐도 상식에 없는 행동을 할 적에 속상하면서도 스스로 "요즘 아이들 다 그런데 뭘..." 이렇게 말하는 건 자기를 속이는 행위다. 

 

‘엄부자모’라는 말이 있었다. 엄한 아버지, 자애로운 어머니라는 의미다. 농사지을 때 하던 말이 아니다. 잘 자란 자녀들의 특징은 그들 부모가 엄부자모가 많았다. 그런데 요즘은 아버지가 부재하다. 엄모자모다. 엄마가 엄하고 엄마가 자애롭다. 엄마가 다 한다. 아빠가 할 역할은 많지만 예전에 비해 상황적으로 아빠의 자리가 많이 작아 보이는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아이들이 개성도 강하고 자신감이 넘치는 건 좋은데 너무 규율이 없다. 권위를 비웃는다. 이건 세기말적 증상이다. 사소하겠지만 깨어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할 적에 생겨났던 수많은 역기능적인 사건들처럼 우리의 자녀교육도 그런 전철을 밟지 않길 바란다.

자녀에 대해 준비하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나름의 부모의 지혜와 철학을 갖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매일 자녀를 위해서 기도할 수 있는 마음이 필요하다. 부모의 마음은 어떻게든 자녀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행복을만드는교육

시대가 변화해도 여전히 조화를 이루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을 가르치는 것은 가장 중요합니다.
‘행복을 만드는 교육’은 유아교육의 미래를 새롭게 만들 ‘중요한 발상’과 ‘실천’을 찾는 동심연구소의 노력입니다.

교육 후기

  •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