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되어야 하는 우리 원의 경쟁력
북 큐레이터 – 아이가 세상을 보는 눈 ‘우리 가족’
소리와 고요 사이에 서 있는 아이. 나는보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6) ”몸 친구 마음 친구에게 고마움을 전해요.”
정서적 주파수 ‘공감’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인생 굴곡 그래프
엄마가 되어간다는 것
스톡데일 패러독스
북 큐레이터 _ 성장은 세상의 소리를 듣는 일
아빠의 행복시네마(4) ‘스노우맨’
북 큐레이터 - 희망과 온기가 가득한 ‘눈 오는 날’을 기다리며
마음을 여는 현명한 선택
다시 볼 영화_ ‘그린치’, 사과와 용서가 있는 크리스마스
원 경영을 위한 나의 감정 메모
인생에서 너무 늦을 때란 없습니다.
북 큐레이터-핑크와 블루를 넘어서
한 해의 마무리, 성찰질문
초등부모교실. 아이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다.
인격 감각과 도덕
누구에게나 모진 시련이 있지만...
놀이(Play)하듯 '행복'을 창조하는 패턴
아빠의 행복시네마(3) '마샤와 곰'
퍼스트 펭귄(펭귄 효과)
다시 볼 영화 _ ‘가버나움’, 지옥의 풍경 너머로 부는 따뜻한 바람
조 바이든의 '신의 선물'
열무와 알타리
찰리 채플린 - 두 번째 만남
한글의 날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북 큐레이터 – '가을'이란 계절의 인사
북 큐레이터 – 행복을 느끼는 내면의 힘 ‘자존감’
Want love, Must love
이게 다 너를 위한 거라고!
아동방임(Childhood neglect)과 불안정애착아 ‘D type’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다시 볼 영화_'블랙(Black)' 어둠에서 빛으로 가는 길
찰리 채플린 - 첫 번째 만남
나의해방일지
다시 볼 영화 - '죽은 시인의 사회', 죽음을 벗어나는 교육
인간다운 그리고 다시 '행복한 교육'에 대하여
인생이 달라지는 모닝 루틴
어둠 속 달빛 영화 ‘아일라 (2017)’
어린 시절의 미해결 과제(unfinished business)
월요병을 치료할 "BFS 백신" 등장
아빠의 행복시네마 '인사이드 아웃'
한복이 그라피티를 만났을 때
교사의 근속을 높이는 방법
거북이는 느려도 행복하다
아이의 성격은 부모의 태도가 결정한다.
뇌가 망가지는 방임
나를 채우는 5가지 말그릇
"넌 할 수 있어"에서 "지금도 괜찮아"로
아빠의 행복시네마 "아빠의 꿈"
깨진 유리창 이론과 자녀교육 십계명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존재를 인정하는 공감 능력
Stay High! (I just want to stay high with you.)
공감지도
생애 초기 가장 중요한 애착과 대화 시스템
'D Type'으로부터의 해방
우리 모두의 ‘Bounce forward’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오픈 리더십’
다른 누군가가 아닌 한 사람
리더십 단축키
100세 할머니가 전하는 인생 저금
의미있는 시작, 사소함
원장님을 위한 시간관리 노하우
좋은 교사를 뽑을 수 있는 꿀팁
교사 채용 시 알아두면 유익한 '채용절차법'
도.개.걸.윷.모
기쁨을 찾는 기쁨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북 큐레이터 - 성장은 자기만의 때를 기다리는 것
하루가 달라지는 1분 모닝 루틴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5) ”아빠! 나는 어떻게 태어났어요?”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의 향연
다시 한번 작심, 그리고 삼일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2탄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1탄
북 큐레이터 - 책과의 교감으로 만들어가는 행복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4)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칭찬해주세요.’
‘리더십’과 ‘조직문화’
아이들은 '놀이'로 웅변한다.
나만의 색깔을 찾아서, ‘퍼스널컬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3) ‘소중한 내 아이의 감정을 만져주세요.’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나쁜 양육, 좋은 양육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2) ‘아이에게 따뜻하게 물어보세요.’
포모증후군(Fear Of Missing Out)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1) ‘꼬옥! 안아주세요.’
효과적인 원 행사를 위한 '아이스 브레이킹' 활용_2탄
북 큐레이터 - 다양한 '감정' 마주하기
'비스듬히'
결국, 사랑받을 세계관
감정의 '페르소나'
꿈을 평가한다면
'튀김소보로'를 아시나요
콜 포비아 세대를 대하려면
원장님, 전화로 업무나 상담을 하시는 경우가 많으시죠?
그런데,
통화 상대가 콜 포비아일 경우,
소통에 어려움이 적지 않으실 겁니다.
전화가 두려운 증상을 콜 포비아(call phobia=전화 공포증)라고 합니다.
2022년 구인구직 전문 포털에서 MZ 세대 2,7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열 명 중 세 명꼴인 29.9%가 '콜 포비아를 겪고 있다'라고 응답했습니다.
예고 없이 불쑥 울리는 전화벨과 길어지는 통화는
MZ 세대에겐 극히 불편한 소통 법인 셈이죠.
팬데믹 이후 전화 기피가 더 심화되는 상황인데요.
그렇다면 콜 포비아를 겪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위 메신저 의사소통이 익숙해서 49.2%
2위 말실수를 할까 봐 35.5%
3위 말을 잘 못해서 28.4%
1위는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한 답변이었는데요.
2위와 3위의 이유는 좀 의외라고 생각되시죠?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매우 소극적인 태도가 보입니다.
특히, 콜 포비아를 겪는 1990년대 이후 출생한 직장인과 대학생들은
친구, 지인과의 사적인 통화도 기피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친한 사이라고 해도 상대의 질문에 즉각 답을 해야 하는 상황이 난처하고,
전화에 온전히 집중하는 시간이 매우 부담스럽다고 하는데요.
상대가 누구든 통화 자체가 곤혹인 것이죠.
또한, MZ 세대는 시간과 감정을 투자하는
커뮤니케이션 자체를 비용이자 리스크로 생각하기 때문에
통화로 발생되는 감정 소비와 그에 따른 피로를 줄이기 위해 문자 소통을 원합니다.
원장님께서 이러한 상황에 있는 MZ 세대(1980년대 초반 ~ 2000년대 중반 출생)와
통화를 시도하셨을 때, 전화는 받지 않고
뒤늦게 문자로 답이 오는 경험을 해보셨을 겁니다.
이럴 때,
‘그 사람 참 무례하기 짝이 없네.’
‘이해가 도통 가지 않는 행동이야.’
라고 생각하기보단
‘음... 그럴 수 있겠네.’
‘어렵고 힘들 수 있겠다.’
라고 생각해 보심 어떨까요?
콜 포비아 세대를 대하는 원장님의 자세에 팁을 드리자면,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다양화를 주시는 겁니다.
세대의 어긋난 소통의 결합을 위해선 모두의 노력이 절실합니다.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와 그에 맞는 캠페인과 교육 등도 필요하죠.
중요한 건,
MZ 세대인 학부모와 교사들은
원장님의 조력자이자 지지자입니다.
세대의 이해와 함께 그들을 배려하는 원장님의 태도가
원 운영에 있어 긍정적인 소통의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것 잊지 마세요!
원장님의 행복한 교육파트너
동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