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그리고 듣다.
북 큐레이터 – 아이가 세상을 보는 눈 ‘우리 가족’
다시 볼 영화_'어메이징 메리' 온전한 행복을 누릴 권리
북 큐레이터 – 익숙한 것들의 역사
"Child, How do you feel now?, 아이야 지금 기분이 어떠니?“
두통의 근원이 여기에?
북 큐레이터 - 책과의 교감으로 만들어가는 행복
북 큐레이터 - 성장은 자기만의 때를 기다리는 것
이것은 그림인가? 글인가?
아빠의 행복시네마(1) '아기 배달부 스토크'
준비되어야 하는 우리 원의 경쟁력
소리와 고요 사이에 서 있는 아이. 나는보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6) ”몸 친구 마음 친구에게 고마움을 전해요.”
정서적 주파수 ‘공감’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인생 굴곡 그래프
엄마가 되어간다는 것
이제 생존을 위해서라도
스톡데일 패러독스
북 큐레이터 _ 성장은 세상의 소리를 듣는 일
아빠의 행복시네마(4) ‘스노우맨’
북 큐레이터 - 희망과 온기가 가득한 ‘눈 오는 날’을 기다리며
마음을 여는 현명한 선택
다시 볼 영화_ ‘그린치’, 사과와 용서가 있는 크리스마스
원 경영을 위한 나의 감정 메모
인생에서 너무 늦을 때란 없습니다.
북 큐레이터-핑크와 블루를 넘어서
한 해의 마무리, 성찰질문
초등부모교실. 아이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다.
인격 감각과 도덕
누구에게나 모진 시련이 있지만...
놀이(Play)하듯 '행복'을 창조하는 패턴
아빠의 행복시네마(3) '마샤와 곰'
퍼스트 펭귄(펭귄 효과)
다시 볼 영화 _ ‘가버나움’, 지옥의 풍경 너머로 부는 따뜻한 바람
조 바이든의 '신의 선물'
열무와 알타리
찰리 채플린 - 두 번째 만남
한글의 날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북 큐레이터 – '가을'이란 계절의 인사
북 큐레이터 – 행복을 느끼는 내면의 힘 ‘자존감’
Want love, Must love
이게 다 너를 위한 거라고!
아동방임(Childhood neglect)과 불안정애착아 ‘D type’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다시 볼 영화_'블랙(Black)' 어둠에서 빛으로 가는 길
찰리 채플린 - 첫 번째 만남
나의해방일지
다시 볼 영화 - '죽은 시인의 사회', 죽음을 벗어나는 교육
인간다운 그리고 다시 '행복한 교육'에 대하여
인생이 달라지는 모닝 루틴
어둠 속 달빛 영화 ‘아일라 (2017)’
어린 시절의 미해결 과제(unfinished business)
월요병을 치료할 "BFS 백신" 등장
아빠의 행복시네마 '인사이드 아웃'
한복이 그라피티를 만났을 때
교사의 근속을 높이는 방법
거북이는 느려도 행복하다
아이의 성격은 부모의 태도가 결정한다.
뇌가 망가지는 방임
나를 채우는 5가지 말그릇
"넌 할 수 있어"에서 "지금도 괜찮아"로
아빠의 행복시네마 "아빠의 꿈"
깨진 유리창 이론과 자녀교육 십계명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존재를 인정하는 공감 능력
Stay High! (I just want to stay high with you.)
공감지도
생애 초기 가장 중요한 애착과 대화 시스템
'D Type'으로부터의 해방
우리 모두의 ‘Bounce forward’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오픈 리더십’
다른 누군가가 아닌 한 사람
리더십 단축키
100세 할머니가 전하는 인생 저금
의미있는 시작, 사소함
원장님을 위한 시간관리 노하우
좋은 교사를 뽑을 수 있는 꿀팁
교사 채용 시 알아두면 유익한 '채용절차법'
도.개.걸.윷.모
기쁨을 찾는 기쁨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북 큐레이터 - 성장은 자기만의 때를 기다리는 것
하루가 달라지는 1분 모닝 루틴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5) ”아빠! 나는 어떻게 태어났어요?”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의 향연
다시 한번 작심, 그리고 삼일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2탄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1탄
북 큐레이터 - 책과의 교감으로 만들어가는 행복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4)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칭찬해주세요.’
‘리더십’과 ‘조직문화’
아이들은 '놀이'로 웅변한다.
나만의 색깔을 찾아서, ‘퍼스널컬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3) ‘소중한 내 아이의 감정을 만져주세요.’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나쁜 양육, 좋은 양육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2) ‘아이에게 따뜻하게 물어보세요.’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질병들을 겪고 있습니다.
그중 대부분이 경험한 질병이 무엇일까요.
바로 '두통'입니다.
두통은 이마에서부터 관자놀이, 후두부, 목덜미 등을 포함하는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나, 직장인들이 많이 겪을 수 있는 통증이 바로 두통입니다.
발병의 원인이나 통증의 정도는 다르겠지만, 한 번 이상 경험해 본 적이 있는 흔한 증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장님께서도 두통을 경험해보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혹시 지금도 머리가 지끈 지끈하지는 않으신가요.
안전사고가 일어나지는 않을까..
원에 대한 불만사항이 들리지는 않을까..
선생님들이 힘들다고 그만둔다고 하는 건 아닐까..
평가인증은 잘 받을 수 있을까..
다양한 고민과 걱정들로 인해 두통을 경험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런데, 두통이 나의 고민들에서뿐만 아니라 턱과 목에서 온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시간이 흐르면서 약해진 근육으로 인해 턱관절에 이상이 오기 시작하고, 올바르지 않는 자세로 인해 목 디스크가 생겨서 통증이 머리까지 올라와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렇다면, 두통을 줄이기 위해서는 턱과 목의 이완이 필요하겠죠.
원장님의 두통을 줄일 수 있는 간단한 스트레칭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지금 계신 자리에서 편안하게 영상을 보시고 따라 해보세요.
* 영상을 보며 반복해서 스트레칭을 따라 해 보세요. *
간단한 턱, 목 스트레칭의 루틴으로 두통에서 벗어나 상쾌한 원장님의 하루를 만들어보세요.
원장님의 행복한 교육파트너
동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