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그리고 듣다.
북 큐레이터 – 아이가 세상을 보는 눈 ‘우리 가족’
다시 볼 영화_'어메이징 메리' 온전한 행복을 누릴 권리
북 큐레이터 – 익숙한 것들의 역사
"Child, How do you feel now?, 아이야 지금 기분이 어떠니?“
두통의 근원이 여기에?
북 큐레이터 - 책과의 교감으로 만들어가는 행복
북 큐레이터 - 성장은 자기만의 때를 기다리는 것
이것은 그림인가? 글인가?
아빠의 행복시네마(1) '아기 배달부 스토크'
준비되어야 하는 우리 원의 경쟁력
소리와 고요 사이에 서 있는 아이. 나는보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6) ”몸 친구 마음 친구에게 고마움을 전해요.”
정서적 주파수 ‘공감’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인생 굴곡 그래프
엄마가 되어간다는 것
이제 생존을 위해서라도
스톡데일 패러독스
북 큐레이터 _ 성장은 세상의 소리를 듣는 일
아빠의 행복시네마(4) ‘스노우맨’
북 큐레이터 - 희망과 온기가 가득한 ‘눈 오는 날’을 기다리며
마음을 여는 현명한 선택
다시 볼 영화_ ‘그린치’, 사과와 용서가 있는 크리스마스
원 경영을 위한 나의 감정 메모
인생에서 너무 늦을 때란 없습니다.
북 큐레이터-핑크와 블루를 넘어서
한 해의 마무리, 성찰질문
초등부모교실. 아이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다.
인격 감각과 도덕
누구에게나 모진 시련이 있지만...
놀이(Play)하듯 '행복'을 창조하는 패턴
아빠의 행복시네마(3) '마샤와 곰'
퍼스트 펭귄(펭귄 효과)
다시 볼 영화 _ ‘가버나움’, 지옥의 풍경 너머로 부는 따뜻한 바람
조 바이든의 '신의 선물'
열무와 알타리
찰리 채플린 - 두 번째 만남
한글의 날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북 큐레이터 – '가을'이란 계절의 인사
북 큐레이터 – 행복을 느끼는 내면의 힘 ‘자존감’
Want love, Must love
이게 다 너를 위한 거라고!
아동방임(Childhood neglect)과 불안정애착아 ‘D type’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다시 볼 영화_'블랙(Black)' 어둠에서 빛으로 가는 길
찰리 채플린 - 첫 번째 만남
나의해방일지
다시 볼 영화 - '죽은 시인의 사회', 죽음을 벗어나는 교육
인간다운 그리고 다시 '행복한 교육'에 대하여
인생이 달라지는 모닝 루틴
어둠 속 달빛 영화 ‘아일라 (2017)’
어린 시절의 미해결 과제(unfinished business)
월요병을 치료할 "BFS 백신" 등장
아빠의 행복시네마 '인사이드 아웃'
한복이 그라피티를 만났을 때
교사의 근속을 높이는 방법
거북이는 느려도 행복하다
아이의 성격은 부모의 태도가 결정한다.
뇌가 망가지는 방임
나를 채우는 5가지 말그릇
"넌 할 수 있어"에서 "지금도 괜찮아"로
아빠의 행복시네마 "아빠의 꿈"
깨진 유리창 이론과 자녀교육 십계명
따뜻하게 안아주세요.
존재를 인정하는 공감 능력
Stay High! (I just want to stay high with you.)
공감지도
생애 초기 가장 중요한 애착과 대화 시스템
'D Type'으로부터의 해방
우리 모두의 ‘Bounce forward’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오픈 리더십’
다른 누군가가 아닌 한 사람
리더십 단축키
100세 할머니가 전하는 인생 저금
의미있는 시작, 사소함
원장님을 위한 시간관리 노하우
좋은 교사를 뽑을 수 있는 꿀팁
교사 채용 시 알아두면 유익한 '채용절차법'
도.개.걸.윷.모
기쁨을 찾는 기쁨
세상에 어른스러운 아이는 없다.
북 큐레이터 - 성장은 자기만의 때를 기다리는 것
하루가 달라지는 1분 모닝 루틴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5) ”아빠! 나는 어떻게 태어났어요?”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의 향연
다시 한번 작심, 그리고 삼일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2탄
효율적인 회의문화 만들기_1탄
북 큐레이터 - 책과의 교감으로 만들어가는 행복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4)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칭찬해주세요.’
‘리더십’과 ‘조직문화’
아이들은 '놀이'로 웅변한다.
나만의 색깔을 찾아서, ‘퍼스널컬러’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이야기(3) ‘소중한 내 아이의 감정을 만져주세요.’
우리는 믿는 바대로 변합니다.
나쁜 양육, 좋은 양육
아빠가 들려주는 성(性) 이야기 (2) ‘아이에게 따뜻하게 물어보세요.’
칼리그람(Calligrammes) = Kalos(아름답다는 뜻) + gramma(글자라는 뜻), 아름다운 상형글자

<출처: Guillaume_Apollinaire_-_Calligramme_-_Poème_du_9_février_1915>
이것을 본 당신은 어떤 생각이 드는가? 이것은 그림인가? 글인가?
이것은 칼리그람(Calligrammes)이라고 한다. 바로 단어로 대상을 가리키고 그림으로 지시를 다시 반복하여 대상과 기호를 강하게 묶어주는 그림을 뜻한다.
칼리그람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이다. 아폴리네르는 그리스어 어원인 칼로스 Kalos(아름답다는 뜻)와 그라마 gramma(글자라는 뜻)를 합쳐 아름다운 상형글자라는 뜻으로 칼리그람(Calligrammes)이라는 합성어를 만들어 낸다.
아폴리네르의 또 다른 칼리그람 형태의 시를 보자.
<출처: Guillaume_Apollinaire_-_Calligramme_-Il Pleut/ (It’s Raining)_1916>
‘비가 오도다’ <il pleut> 라는 시를 보면 불어를 모르는 사람이 보더라도 이미지만으로도 쉽게 그 의미가 전달된다. 후드득 후드득 쏟아지는 글자들이 빗방울이 되어 종이 위에 떨어진다. 글자의 배열만으로도 쏟아지는 빗줄기가 이미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아폴리네르는 비가 내리는 것이 자신의 삶에서 놀라운 만남이라고 말하며 빗방울 하나하나가 삶의 많은 순간과 인연임을 암시한다고 이야기했다.
<출처: Guillaume_Apollinaire_-_Calligramme_-la cravate et la montre>
<la cravate et la montre>를 보면 문자의 배열로 넥타이와 시계라는 오브제를 표현해냈다. 아폴리네르는 그저 보이는 대상을 단순히 그려내는 것이 아니라 사물마다 포함하고 있는 그 시대의 모습이나 인간성에 대한 성찰을 자신만의 표현 방식으로 그려내려고 했다. 그래서 넥타이는 개인의 삶을 속박하는 사회적 규범, 시계는 죽음을 향해 흘러가는 시간을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와 활자의 만남
따라서 칼리그람은 이미지와 활자의 만남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칼리그람은 글을 통한 ‘말하기’와 이미지를 통한 ‘보여주기’를 동시에 함으로써 전달하려는 의미를 보다 확실하게 드러내려는 시도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되는 칼리그람도 있다.
La Trahison des images (Ceci n'est pas une pipe)1929, Oil on Canvas, 64.45 × 93.98 cm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르네 마그리트의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를 보면 분명 파이프를 그려놓고 파이프가 아니라고 표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작품을 접하는 사람들은 파이프를 의미하는 이미지와 파이프가 아니라고 말하는 텍스트 사이에서 혼란스럽다. 마그리트는 화가가 대상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그 대상의 재현일 뿐이지 그 대상 자체일 수는 없다는 점을 통해 먼저 우리의 상식적인 고정관념을 깨부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현대 예술이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읽기의 시”에서 “보는 시”라는 새로운 형식
'전통적인 읽기의 시' 에서 '보는 시'라는 새로운 정신과 형식을 추구했던 기욤 아폴리네르.
인종과 성, 계급을 뛰어넘어 누구나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방식을 추구하고 글자 역시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수단이 아닌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는 불합리한 현실과 타성적인 관습을 깨기 위해 일상의 언어를 벗어나 삶이 내포하고 있는 새로운 잠재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드러내고자 했던 것이다.
캘리그라피와 타이포그래피
칼리그람은 한자문화권, 서양문화권, 아라비아문화권과 같은 다양한 문화권을 통해 캘리그라피와 타이포그라피로 확장해나간다. 인쇄술의 발달과 컴퓨터의 발명으로 읽기 위한 글자가 아닌 보고 감상하는 글자로 변화되며 옛것에의 답습에서 벗어나 새로운 창작적 시도를 통해 순수예술로 승화되고 있다.
캘리그라피와 타이포그래피는 문자라는 요소를 가지고 디자인하여 아름다움과 정보전달을 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하지만 캘리그라피가 자유롭고 조화로운 미를 추구한다면 타이포그래피는 인위적인 정돈된 미라고 할 수 있다.
<캘리그라피 폰트>
<타이포그래피 폰트>
소리와 그림의 시대
현대사회는 점차 긴 글을 읽기 싫어하고 한 눈에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나 순간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오감으로 체감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래서 깊이있게 사고하기보다는 자극적인 것들을 더 선호함으로 인해 다양한 상상력을 축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아폴리네르의 ‘읽기’와 ‘보기’의 협동 작업은 의미와 상상력이 확장되는 또 다른 길을 보여주었다는 것에 아주 큰 의미가 있다.
결국 그는 이 예술을 통해서 우리는 끊임없이 발전해야 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해야한다는 예술의 참된 목적을 알려주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오늘은 매일 예술을 창조해 나가는 우리 아이들의 작품을 자세히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그 속에는 무엇이 보일까? 그리고 어떤 글이 읽혀질까?
분명, 아이들이 가지고 오는 작품 하나로 기대가 되는 오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