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아이는 그 누구도 어른스럽게 살아가길 바라지 않는다. 아이답게, 아이스럽게 살아가길 바란다. 그런데 마음이 여리고 인정받음에 굶주린 아이들은 사실 아이답게 살기 원하면서도 애쓰고 노력한다. 어른스럽게 보이려고 말이다. 그게 훗날 정말 얼마나 큰마음의 병이 되는지 알지 못하고 말이다.
 
그건 일종의 정체성 부정이기도 하다. 자신이 아이라는 정체성을 버리라는 것이다. 사실 아이의 문제는 부모의 문제요 어른의 문제다. 어른들은 아이가 아이다운 걸 못 견딘다. 빨리 커서 말귀를 알아듣는 어른스러운 아이가 되길 바란다. 빨리 성장해서 공부 잘 하고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는 그런 아이가 되길 바란다. 빨리 의젓해져서 남들에게 인정받고 살아가는 모습을 보길 원한다. 왜냐하면 그 부모도 그런 어린 시절을 보내왔기 때문이다. 하나도 이상할 게 없다. 그런데 그게 가장 이상한 것이다.
  
과거 가난하던 시절, 아이를 많이 낳아 기르던 시절에 첫째나 둘째들은 형, 오빠, 언니, 누나 역할을 잘 감당해야 했다. 모범이 되어야 했다. 부모님에게 아이같이 투정 한번 부릴 수 없었다. 의젓하고 어른스럽고 성실한 모습이어야 했다. 그런데 그렇게 제대로 된 ‘퇴행’ 한번 못하고 살아온 사람들이 결혼을 하면 아내나 배우자에게 이상행동을 하고 아이들을 낳아 키우면서 그 아이들이 아이다울 적에 마구 화를 낸다.
 
---------------------------------------
아이가 아이답다는 것은 
무얼 의미할까?
---------------------------------------

자기의 증상을 아무렇지도 않게 아이들에게 퍼붓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상처받은 아이들은 다시 상처 주는 어른이 된다. 악순환이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는 것이다. 아이가 아이답다는 것은 무얼 의미할까? 그저 자연스럽다는 걸 말하고 싶다. 한 마디로 철모르는 것이다. 가급적 눈치 안 보는 것이라 생각한다. 

아이들에게 가장 두려운 건 
인정받지 못하는 것,
혼나는 것,
비교당하는 것,
말로 상처를 받는 것,
거절당하는 것,
친구들에게서 따돌림을 당하는 것,
너무 많은 책임을 지는 것,
그 누구도 어렵고 혼란스러울 적에 도울 대상이 없는 것,
그런 것일 것이다.

---------------------------------------
‘거짓 자기’, false self의 탄생
---------------------------------------

그렇다면 그렇지 않도록 즉, 그런 환경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부모나 어른이 최선을 다하는 것이 부모 되고 어른 된 자의 도리일 것이다. 영국의 소아전문의 위니캇이나 자기심리학자 코헛은 유아기에는 엄마나 돌보는 대상을 통해 거울같이 반영 받는 경험 ‘mirroring’을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엄마가 나빠서가 아니라 미숙해서 그런 욕구를 채워주지 못하면(아이의 욕구나 행동에 민감하고 일관되게 반응해주지 못하게 되면) 눈치 보는 아이로 인생을 시작하게 되며 아이는 자신의 욕구보다 자기를 돌보는 사람의 필요나 욕구에 지나치게 예민한 아이로 자라 자신의 감정표현은 억제하고 자기가 처한 주위 환경의 눈치를 먼저 살핀다는 것이다.  

위니캇은 이것을 ‘거짓 자기’, false self가 탄생하는 것이라 역설하였다. 대신 '참 자기'(true self)는 마음 깊은 곳으로 억압된다. 이러면 어른스러운 아이로 자라며 어린 시절을 기억조차 하지 못하거나 하고 싶어 하지 않은 성인으로 자라게 되는데 이런 사람들은 어느 날 뭔가 공허하고 덧없고 자신이 마치 살아있는 좀비 같고 로봇 같다는 허망한 감정이 마음의 중심에 자리를 잡게 되는 것이다.

---------------------------------------
순수한 아이로 되돌리는 
밝고 좋은 대상
--------------------------------------- 

결국 그렇게 바랐던 어른은 되었는데 어른이 된 기쁨보다는 아이 시절을 상실한 것에 대해 후회만 남는 우울한 어른이 되고 만다는 것이다. 누구를 탓하랴! 그래서 대상관계이론가 로널드 페어베언은 가능하면 아이를 외향적으로 키우라고 권한다. 내향적이라는 말은 뭔가 억압이 많고 눈치가 많았다는 걸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런 아이일수록 실제 대상보다는 마음의 대상, 그것을 내적 대상(inner object)이라 부르는데 그런 내적 대상 속으로 침잠해 들어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실제 친구와 놀고 운동하고 같이 있는 시간보다 혼자 상상하고 생각이 많고 같이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서만 무언가를 하려 드는 내향성 아이로 자라게 되는데 페어베언은 이것 자체가 이미 마음에 병이 든 것이라 보았다. 페어베언은 상담자와 만날 적에 가능하면 또 다른 내면화가 생겨나지 않을 만큼 좋고 밝은 대상을 만나 새로운 체험을 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분석이나 치료도 잘 해야겠지만 새로운 대상 체험 즉 “아 세상에 저런 사람도 있구나...,"라는 경험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대상이야말로 어른스러운 아이를 다시 순수한 아이로 되돌리게 할 뿐 아니라 어른스러운 척하는 성인에게 다가가 다시 한 번 자신의 어린 시절로 퇴행해 볼 것을 권하며 혹 그렇게 퇴행(어른스럽게 살아왔던 사람이 그런 행동을 보이지 않는다 해도)하더라도  "아 그럴 수 있어요. 아 그랬군요.  아 오죽했으면... 아! 괜찮아요. 하나도 이상하지 않아도 그럴 수 있어요."라고 말해주는 대상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
"아 그럴 수 있어요. 아! 괜찮아요. 
하나도 이상하지 않아도 그럴 수 있어요."
--------------------------------------- 

물론 이건 페어베언의 말이 아니라 나의 상담 임상에서 얻어진 결론이기도 하다. 아이는 아이다운 게 정상이다. 모든 아이들은 느리게 성장한다. 그리고 그 느림은 속도가 아니라 생명 현상의 일부분이다. 그 어느 누구도 생명을 거스를 수 없듯 그 누구도 성숙의 속도를 거스를 수는 없는 것이다. 어찌 보면 우리나라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은 너무 "빨리빨리"에 익숙해져서 퇴행할 줄을 모르고, 느리게 살줄도 모르며 제대로 게으를 줄도 모르는 것 같다.
 
그래서 생각한다. 느린 게 치료가 될 수 있다고. 서서히... 서서히... 천천히... 다시 천천히...           
마치 화가가 수 백 번 같은 정물을 바라보면서 그 정물에 담긴 색의 미묘한 차이를 계속 바라보고 화폭에 새기듯 그렇게 살아가고 그렇게 자신을 성찰할 수 있다면 그것이 치료가 아닐까 생각한다. 느림이 치료라는 말이다. 다시 말하지만 세상의 모든 아이들은 느리게 자란다. 그리고 그들의 느림이 자연스러울수록 그들이 만들어낼 세상도 그렇게 편안하고 자연스러울 것이기 때문이다.


행복을만드는교육

시대가 변화해도 여전히 조화를 이루며 행복하게 살아가는 것을 가르치는 것은 가장 중요합니다.
‘행복을 만드는 교육’은 유아교육의 미래를 새롭게 만들 ‘중요한 발상’과 ‘실천’을 찾는 동심연구소의 노력입니다.

[글]
변상규교수 l 대상관계연구소장,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특임교수


[저서]
네 안에서 나를 보다(2007), 마음의 상처 심리학(2008), 자아상의 치유(2010), 때로는 마음도 체한다(2014)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