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고는 발이 아닌 귀를 위한 음악이다.
(출처:위키백과)
(출처: 네이버 영화)
https://youtu.be/HIf19aClyvo
카르델이 탱고에 대중성을 부여했다면 아스토르 피아졸라는 탱고에 예술적 품격을 갖추게 했다. 이른바 ‘누에보 탱고’의 시작이다. '누에보 탱고'는 뿌리가 되는 아르헨티나의 전통 탱고에 클래식, 특히 피아졸라가 숭배하던 스트라빈스키와 바르토크의 음악과 미국 재즈의 접목을 시도하여 춤추기 위한 음악이라기보다는 연주를 위한 곡이라고 할 수 있다.
탱고는 다른 춤과는 다르게 혼자서 출 수 없고 특히 파트너와 교감과 일체감이 중요하다. 그리고 딱딱한 형식이나 격식보다는 솔직한 감정 표현이 더 중요한 것이 매력적인 춤이라고 할 수 있다.
"탱고는 춤추는 느낌이다. 능력을 보여주는 춤이 아닌 감정의 해석을 하는 춤이다. 발을 움직이고 자세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사랑, 분노, 행복, 즐거움 등의 감정과 코드를 이해하는 사람들이 추는 춤이다."
영화 ‘여인의 향기’에서 "탱고는 실수할 게 없다. 만약 실수하게 되면 스텝이 엉키게 되는데 그게 바로 탱고다."라고 알파치노는 말한다. 어쩌면 우리가 살고있는 인생도 탱고와 비슷하지 않을까?
삶이라는 긴 여정에서 사람은 살아가며 실수를 하게 되고 그 실수를 반복하며 살아가는 것처럼 말이다. 어떻게 춤을 춰야 할지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순간순간들, 이미 꼬여버린 스텝에 좌절하기보다는 그 스텝들을 받아들이고 그 스텝들이 다시 모여져 "탱고"라는 멋진 춤을 완성해내듯이 살아보지 않은 시간 속에서 실수하면 실수하는 대로 살아가는 것이 인생이지 않을까?
2014년 소치올림픽 김연아 선수 은퇴경기
2014년 겨울,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피겨여왕 김연아의 마지막 무대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때 울려 퍼진 음악이 무엇인지 기억하는가? 바로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아디오스 노니노’이다.
"탱고는 무언의 의사소통이며, 언어보다 훨씬 심오합니다. 포옹을 통해, 우리가 누구인지 매 순간 소통하게 됩니다."
아디오스(Adios)는 스페인어로 '안녕'을 뜻하며 노니노(Nonino)는 이탈리아어 약칭으로 할아버지를 뜻하는 논노(Nonno)의 아르헨티나식 표현으로 피아졸라와 형제들이 아버지를 부르던 애칭이기도 했다. 이 음악에는 아버지를 사랑하는 아들의 마음이 절절히 배어 있다. 피겨여왕의 마지막이 더욱 애잔했음은 어쩌면 오랫동안 감동을 안겨준 사람과의 이별이기도 했지만 그때 울려 퍼졌던 피아졸라의 마음 때문은 아니었을까.
[글] 동심영유아교육생활문화연구소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